3해외 투자 유치를 위한 다큐멘터리 기획안 작성 가이드
3.1 제작 개요(Project Description)
기획안을 작성할 때는 가장 먼저 작품을 소개하는 ‘제작 개요’가 필요하다. 작품을 효과적으로 소개하기 위해 제작 개요에 작성해야하는 필수 구성 요소 몇 가지를 소개한다.
출처: Drafthous Films, IDA documentary magazine
- 2014년 선댄스 영화제 Grand Jury Awards 수상작, 제64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제61회시드니 국제영화제 등 상영작, 그룹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씨즈(Nick Cave & The Bad Seeds)의 리더이자 호주 대표 뮤지션 닉케이브가 앨범을 준비하는 과정을 일거수일투족 다룬 음악 다큐멘터리 영화
- 2012년 캐나다 핫닥스 다큐멘터리 페스티벌, 선댄스 영화제 등 다큐멘터리 분야 수상작, 에딘버러 국제 영화제, 시드니 국제 영화제 등 상영작. 1997년 실제 미국에서 있었던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프레데릭 부르뎅(Frédéric Bourdin)이라는 프랑스 청년이 자신이 1994년에 실종된 텍사스 부호의 아들 니콜라스 바클레이(Nicholas Barclay)라고 주장하며 벌어진 사기 사건을 재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첫째, 작품의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문장인 ‘로그라인(Log line)’이 필요하다. 로그라인은 최대 세 문장 이상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작품 내용을 요약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로그라인은 작품의 주인공은 누구인지, 주인공이 작품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가 있는지, 주인공이 처한 어려움 혹은 장애물이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던 다큐멘터리 작품 중 좋은 로그라인 예시를 들면 <표1>과 같다.
두 번째 필수 구성 요소로는 스토리 요약문과 시놉시스가 있다. 작품의 스토리에 대해 설명하는 내용으로 도입(set up)-문제(confrontation)-해결(resolution)의 3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제작 초기 단계의 기획안이라면 주인공은 누가 될 것인지, 주인공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나 스토리 전개 방향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세 번째 구성요소로는 주제 요약문을 들 수 있다. 스토리 요약문이 주인공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설명하는 내용이라면 주제 요약문은 작품이 어떤 주제를 다루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기획한 주제를 구체적으로 어떤 소재를 통해 전달할 것인지 보여줘야 한다. 역사, 정치, 사회, 과학, 인류학 등의 분야에서 어떤 분야에 속하는지, 인종차별이나 성차별, 동성애혐오 등 사회적 폐단을 폭로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등을 밝혀야한다. 또한, 제작자가 해당 작품을 제작하는 데 적격이라는 점도 기술해야 한다. 기존에 이와 유사한 주제의 작품을 제작한 이력이 있으면 언급하는 것도 좋다. 제작자와 출연자의 특별한 관계나 제작자의 직업 등 차별성이 있다면 이를 강조해야 한다. 주제 요약문을 작성할 때는 특히 스토리 요약문의 연장선으로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제작 단계와 제작 일정을 명시해야 한다. 작품의 제작 단계나 일정을 구체적으로 공유하면 작품 제작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기간에 프로그램을 제작한다면 구체적인 안전 수칙이나 대책 방안도 명기할 것을 추천한다.
3.2 관객 분석과 사회적 영향력(Audience & Social Impact)
전 세계 남녀노소 모든 관객들이 자신의 작품을 좋아할 것이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개개인마다 처해있는 환경, 삶의 배경, 취향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제작자는 먼저 작품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해야 한다.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면 더욱 많은 관객을 동원하는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먼저 타겟층이 될 잠재 관객(potential audience)에 대해 구체적인 예측이 필요하다. 인종, 민족(ethnicity), 성적 지향성, 성별, 종교, 연령, 정치적 성향, 취미, 직업 등을 구체적으로 예측하여 상세하게 기술해야한다. 관객의 성향을 잘 파악한 작품일수록 더 많은 관객을 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북미·유럽 시장에서는 작품의 사회적 영향력을 중요시하는 제작 기조도 나타나고 있다. 영국의 비영리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기관 닥 소사이어티(Doc Society)는 ‘굿피치(Good Pitch)’라는 피칭행사를 통해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임팩트 프로듀서(Impact producer)를 양성하고 있다. 임팩트 프로듀서는 사회 이슈를 담고 있는 작품이 어떻게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지 고민하고 그 고민을 다큐멘터리 배급으로 연결하는 임팩트 캠페인을 기획하고 책임지는 제작자를 의미한다. 임팩트 캠페인을 활용하고 임팩트 프로듀서로서 지원을 받고 싶다면 “본 작품은 사회에 선한 영향을 미치는 작품이 될 것입니다.”와 같이 모호하고 단순한 설명은 피하는 것이 좋다. 임팩트 캠페인이 홍보 방식으로 적합한 이유를 잘 드러내야 한다.
3.3 주요 제작 인력에 대한 상세 소개(Key Creative Personnel)
주요 제작 인력의 이력사항을 소개해야 한다. 제작자를 비롯한 주요 제작진이 참여한 다큐멘터리 제작 성과에 대해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다큐멘터리 제작 경험이 잘 드러나도록 지금까지 참가했던 국내외 영화제 등 페스티벌, 지원받은 기금명, 협력 배급사, 유통 채널 등을 모두 명기하는 것을 추천한다. 제작진의 이력사항이 다큐멘터리 제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업무 분야를 연계하여 기술해야 한다. 비주얼 아트 분야의 경력이 있다면 해당 경험이 다큐멘터리 제작의 비주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회계 분야 경력이 있다면 제작 예산과 기금 관리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서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력을 과장해 서술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3.4 재원 확보 전략(Fundraising Strategy)
프로그램 제작에는 제작비가 필요하다.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차별성 등에 입각하여 예상되는 제작비를 합리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제시한 예산을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상술해야 한다. 제작비 조달 전략은 다양하게 제시할수록 좋다. 일반적으로 북미나 유럽의 지원기관들은 여러 방면에서 투자를 받는 제작자를 선호하고 권장한다. 제작지원 기금이나 개인 후원, 기업의 스폰서십, 해외 공동제작 기회 확보, 글로벌 크라우드 펀딩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자 확보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