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년 K-콘텐츠의 OTT 인기 현황 분석

유건식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OTT 시대가 되면서 콘텐츠의 인기를 조사하는 일은 피플미터를
이용한 방송의 시청률 조사와는 달리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다.

현재 수많은 플랫폼이 있고, 개별 플랫폼은 콘텐츠의 소비 현황을 정확하게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콘텐츠의 인기 조사는 글로벌 차원에서는 플릭스 패트롤과 패럿 어낼리틱스가 이용 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KBS의 스톰(StoRRm), CJ ENM의 CPI,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화제성 지수, 한국리서치의 KOI(Korean OTT Index) 등이 있다.

  • TREND REPORT
  • 2023년 K-콘텐츠의 OTT 인기 현황 분석
본문

OTT 시대가 되면서 콘텐츠의 인기를 조사하는 일은 피플미터를 이용한 방송의 시청률 조사와는 달리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다. 현재 수많은 플랫폼이 있고, 개별 플랫폼은 콘텐츠의 소비 현황을 정확하게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콘텐츠의 인기 조사는 글로벌 차원에서는 플릭스 패트롤과 패럿 어낼리틱스가 이용 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KBS의 스톰(StoRRm), CJ ENM의 CPI,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화제성 지수, 한국리서치의 KOI(Korean OTT Index)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한국리서치는 모바일로 1,500명 패널을 운용하며 실시간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수 조사를 하고 있다. 2023년 국내 OTT 시장에서 어떤 콘텐츠가 가장 인기가 있었고, 플랫폼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서 정리했다. 국내에서 이용되는 OTT 앱은 29개인데, 이용자는 유튜브(92.1억 시간)를 가장 많이 활용했고, SVOD 중에서는 넷플릭스의 점유율이 39.0%에 달했으며, <더 글로리>의 이용시간이 2,868만 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웨이브에서는 <나 혼자 산다>, 티빙에서는 <뿅뿅 지구오락실>, 디즈니+에서는 <무빙>이 가장 많이 이용한 콘텐츠였다.

1. 들어가며

지난해 “2022년 K-콘텐츠의 OTT 인기 현황 분석(<2023년 3+4월호> 참조)”에 이어 “2023년 K-콘텐츠의 OTT 인기 현황 분석”을 하면서 시계열적 기록과 분석의 중요함을 체감한다.

미디어 측정 연합인 CIMM(Coalition for Innovation Media Measurement)에서 발간한 “미디어의 미래” 리포트에서도 스트리밍(OTT) 서비스는 꾸준히 이용자를 늘려 왔다고 밝혔고,1) 닐슨(Nielsen)에 따르면 스트리밍 시청시간의 비율이 2023년 7월에는 38.7%에 달했다.2)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3 OTT 이용행태 조사” 결과에서 국민의 86.5%가 OTT 플랫폼을 이용하고3) 있을 정도로 기존 방송의 시청률은 감소했지만 OTT 시청은 대세로 자리를 잡았다. 그럼에도 OTT에서 소비되는 현황을 제대로 조사하지 못하고 있다. 2022년 분석에서도 소개했듯이 NBC 유니버설(NBC Universal)은 닐슨을 이용하지 않고 아이스팟tv(iSpot.tv)과 협력하여 슈퍼볼 경기에서 시청자수 측정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냈고,4) 2024년 제58회 슈퍼볼에서도 다양하게 시청자 측정을 실시하고 보고서를 공개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58호 슈퍼볼 평균 분당 시청자는 1.26억 명이고, 리니어 TV 광고 노출은 62.2억 명이다.5)

그림1 제58회 슈퍼볼 주요 수치
제58회 슈퍼볼 주요 수치
Super Bowl LVIII by the Numbers: Whistle-to-Whistle(6:40 PM - 10:46 PM ET)
  • 126.6 Million - Average Minute Audience(linear, streaming, OOH)
  • 100.65 Million - Average Minute P2+Audience(linear & Streaming)
  • 25.9 Million - Average OOH Audience
  • 6.23 Billion - Verified P18 + linear TV Ad Impressions
  • 637 - Average Ad Likeability
  • 48% - Average Positive Purchase Intent
  • 76% - Average Brand Recognition
  • Funny - Top Emotion

글로벌 차원에서는 플릭스 패트롤(flixpatrol.com)과 패럿 어낼리틱스(parrotanalytics.com)가 OTT에서 유통되는 콘텐츠의 이용 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KBS의 스톰(StoRRm), CJ ENM의 CPI,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펀덱스(FUNDex), 한국리서치의 KOI(Korean OTT Index),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이하 코바코)의 라코이(Racoi, 인터넷 화제성 지수) 등이 있다. 이중에서 KBS의 코코파이(KOCO PIE, KOrea COntent Program Index for Evaluation)TV와 코바코의 라코이는 예산상의 문제와 활용성이 낮아 2024년부터 중단한다.

콘텐츠에 대한 인기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OTT 시장에서는 콘텐츠 스트리밍과 동시에 글로벌로 유통되기 때문에 국가별로 콘텐츠의 인기도를 파악할 수 있다. CIMM 보고서에서도 광고주들은 이전에 비해 브랜드 구축보다는 ‘성과’ 측정에 중점을 둔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화제의 콘텐츠를 파악할 수 있고, 제작자나 유통 사업자는 콘텐츠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 가치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회사는 패럿 어낼리틱스이다. 특정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OTT 플랫폼의 수익과 수요를 측정하여 콘텐츠의 가치를 산출한다.6) 특히 미국처럼 시즌제를 유지하는 미디어 회사에게는 콘텐츠의 유통 가격을 정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릭스 패트롤이다. 전 세계 OTT에서 소비되는 동영상의 국가별 순위를 기반으로 글로벌 순위를 산출하여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한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서비스가 있어야 하는데 종합적인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2024년이 되면서 더 축소되어 한국리서치에서 KOI(Korean OTT Index)와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펀덱스(FUNdex)만 남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콘텐츠 인기도를 가장 체계적으로 산출하고 있는 한국리서치 데이터를 확보하여 KOI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2. K-콘텐츠의 인기는 어떻게 파악할까?

콘텐츠의 인기를 파악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전에는 영화나 뮤지컬은 관객수를, 방송 프로그램은 시청률을 기준으로 삼았다. 디지털 기술이 발달한 요즘에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방송의 경우, OTT 세상에서는 실시간이외에도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한다. 물론 OTT 오리지널은 본방 개념이 없고, 시청률도 조사할 수도 없다. 따라서 OTT에서 시청하는 것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시청률 조사가 필요하다. 그 이유로는 첫째, TV시청 디바이스의 확대에 따른 정확한 시청률의 확보, 둘째, 광고형 OTT 서비스의 보편화, 셋째, 작품의 성과에 따른 차기 제작사, 작가, 감독, 배우 등의 개런티에 대한 영향, 넷째, 멀티 커런시(Multi-currency)7) 시대의 도래 등이다. 멀티 커런시란 다중 교환가치를 의미하며, 미디어 시장이 시청률이라는 단일 교환가치가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다양한 결과들이 교환가치가 된다는 의미이다.8)

미국 닐슨이나 영국 BARB(Broadcasters’ Audience Research Board) 등이 전통적인 시청률 조사와 함께 OTT까지 확대하여 조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닐슨코리아가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시청률 조사의 틈을 타고 새롭게 콘텐츠의 가치를 선도적으로 파악하는 곳이 플릭스 패트롤과 패럿 어낼리틱스이고, 국내에서는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펀덱스이다. 이 회사들은 콘텐츠 가치를 파악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비즈니스로 연결시키고 있다.

국내에서는 K-콘텐츠의 시청률이나 인기를 조사하는 곳은 시청률 조사기관인 닐슨과 TNMS, KBS의 코코파이TV, CJ ENM의 CPI,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라코이, 한국 갤럽의 한국인이 좋아하는 프로그램, 굿데이터 코퍼레이션의 펀덱스, 한국리서치의 KOI 등이 있다.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와 코리안클릭, 나스미디어(인터넷 이용자 조사, NPR), 랭키파이(트랜드지수) 등에서 OTT 이용자 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한다.

  • 7) 멀티 커런시란 다중 교환가치를 의미하며, 미디어 시장이 시청률이라는 단일 교환가치가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다양한 결과들이 교환가치가 된다는 의미이다.
  • 8) 유건식(2023). OTT 콘텐츠의 시청률 조사 방식 분석. 글로벌 OTT 동향분석, 2023 Vol. 2. pp. 4~5.

2-1. 국내 전통적 시청률 조사

방송 콘텐츠에 대한 가장 기본이 되는 조사는 시청률 조사기관이 피플미터를 활용하여 파악하는 자료이다. 국내에서 닐슨이 서울 550가구, 수도권 1,345가구, 전국 3,134가구, TNMS는 전국 3,200가구를 대상으로 시청률을 조사하고 있다. 본방 시청률은 익일 발표하고, 프로그램이 끝나면 최고 시청률이나 평균 시청률이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시청률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구분에 따라 성별, 연령별, 소득별, 학력별, 직업별로 세분화하여 제공한다. 시청률은 제작자, 광고회사, 광고주 모두에게 소중한 자료이다. 예전에는 시청률에 일희일비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기준은 시청률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시청률이 높으면 그만큼 화제도 높아 광고로 직접 연결된다. 15초 기준으로 가장 높은 광고 단가가 형성된 프로그램은 tvN 토일 드라마 <세작, 매혹된 자들>로 1,725만 원이다. 또한 SBS 금토 드라마 <재벌X형사>가 1,650만 원, KBS 주말 드라마 <효심이네 각자도생>이 1,650만 원, MBC 예능 <나 혼자 산다>와 <놀면 뭐하니?>가 1,485만 원으로 광고 단가가 가장 비싸게 형성되어 있다.9)

종합적으로 프로그램의 시청자수를 파악하는 지수는 KBS의 코코파이TV다. 주간단위로 본방, 재방, 케이블TV, VOD를 포함한 시청자수를 산출하여 프로그램의 경쟁력을 파악한다. 아쉽게도 2024년부터는 공식적으로는 발행하지 않는다. 2023년 연간 기준으로 시청자수 1위는 <삼남매가 용감하게>로 회당 평균 645만 명이고, 2위는 <미스터 트롯2>으로 539만 명이다. 시청자수가 1위에서 5위까지 2022년 비해 상당히 감소했다. KBS 주말극의 시청률 감소가 이를 대변해 준다.

표1 연간 코코파이 TV 톱10(본방, 재방, 케이블TV, 7일간 VOD)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2년, 2023년 코코파이 TV 톱10(본방, 재방, 케이블TV, 7일간 VOD) 수치를 프로그램명, 채널, 시청자수(만명)으로 나열한 표
순위 2023년 2022년
프로그램명 채널 시청자수(만명) 프로그램명 채널 시청자수(만명)
1 삼남매가 용감하게 KBS2 645 신사와 아가씨 KBS2 883
2 미스터 트롯2 TV조선 539 재벌집 막내아들 JTBC 778
3 진짜가나타났다 KBS2 538 현재는 아름다워 KBS2 623
4 내눈에 콩깍지 KBS1 471 미스터트롯2 TV조선 566
5 복수대행 써비스모범택시2 SBS 467 삼남매가 용감하게 KBS2 527
6 닥터 차정숙 JTBC 449 여러분 고맙습니다 송해 KBS2 445
7 미스 트롯3 TV조선 445 국가대표 와이프 KBS1 431
8 낭만닥터 김사부3 SBS 425 2022 대선후보토론 KBS1 427
9 효심이네 각자도생 KBS2 395 으라차차 내 인생 KBS1 425
10 항저우축구(결승한국:일본) MBC 394 천원짜리 변호사 SBS 407
출처KBS(2022); KBS(2024)

2-2. 디지털 시청률 조사

기존의 시청률 조사는 가구에 피플미터를 설치하여 파악하는 것이었다면, 디지털 환경에서는 온라인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청률을 조사한다.

2-2-1. 플릭스 패트롤

넷플릭스가 K-콘텐츠를 전 세계 190개 국가에 동시에 유통하면서 가장 회자가 되는 곳이 플릭스패트롤이다. 이 업체는 영화와 TV쇼를 구분하여 OTT 플랫폼별로 인기 순위를 매일 공개한다. 또한 주별, 월간, 연간으로 인기 순위도 파악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OTT 플랫폼은 넷플릭스, 디즈니+, 아마존 프라임, 애플, 구글의 자료를 제공한다. 플릭스패트롤은 2023년 9월부터 유료화되었는데, 2023년 상반기 자료는 무료로 제공한다. 국내 OTT인 웨이브와 티빙은 순위를 제공하지 않는다. 국내에서 2023년 K-콘텐츠의 인기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콘텐츠가 많이 유통되는 넷플릭스와 디즈니+에서 연간 순위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넷플릭스의 경우 TV쇼는 <더 글로리>가 1위, 영화는 <길복순>이 1위였다. 디즈니+는 TV쇼는 <카지노>가 1위, 영화는 <범죄도시>가 1위였다. 연말에 나온 <무빙>은 2024년 3월 초까지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처럼 디즈니+의 점수가 높은데 이는 콘텐츠가 많이 수급되는 넷플릭스에 비해 신규 콘텐츠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된다.10)

표2 플릭스 패트롤 기준 2023년 국내 TV쇼 인기 순위(괄호 안은 점수)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플릭스 패트롤(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기준 2023년 국내 TV쇼 인기 순위(괄호 안은 점수)
순위 넷플릭스 디즈니+
TV쇼 영화 TV쇼 영화
1 더 글로리(920) 길복순(450) 카지노(2,853) 범죄도시(2,302)
2 일타 스캔들(629) 독전(385) 형사록(1,772) 어벤저스:엔드게임(2,090)
3 나는 Solo(605) 발레리나(352) 모던 패밀리(1,645) 아바타 2(1,226)
4 닥터 차정숙(548) 공조 2(337) 무빙(1,303) 엘리멘탈(922)
5 킹더랜드(492) 비공식작전(312) 심슨(1,217) 블랙팬더(851)
6 나쁜 엄마(480)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300) 최악의 악(770) 범죄도시 2(719)
7 국민사형투표(453) 드림(296) 크리미널 마인드(717) 올빼미(713)
8 신성한 이혼(397) 스위치(283) 레버넌트(714) 겨울왕국 2(586)
9 힘쎈여자 강남순(395) 독전 2(282) 낭만닥터 김사부(692)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567)
10 힙하게(393)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258) 사랑이라 말해요(616) 앤티맨과 와스프(529)
  • 10) 플릭스패트롤은 OTT 서비스별로 ‘많이 본 콘텐츠 톱 10’의 국가별 자체 순위를 바탕으로 1위 10점, 2위 9점, 3위 8점, … 10위 1점 순으로 점수를 준다. 개별 국가의 점수를 합산하여 전 세계 순위를 산정한다.

2-2-2.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모든 콘텐츠에 대해 시청시간을 공개하지는 않지만 10위까지 글로벌과 국가별로 자료를 공개한다. 그러나 개별국가는 순위만 발표하므로 정확한 데이터는 알 수가 없다. 2019년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넷플릭스는 정기적으로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한 주간의 톱 10을 집계해 매주 화요일 발표하고 있다. 글로벌에서는 영화와 TV쇼를 영어와 비영어로 구분하고, 로컬에서는 영화와 TV쇼로만 구분한다. 이 당시는 넷플릭스는 구독자가 70%를 시청하면 ‘조회수’로 산정하고 70%가 시청한 가구 수를 집계했다. 2020년부터는 시청 기준을 콘텐츠의 70% 시청 기준에서 ‘최소 2분 시청한 구독자 수’로 바꾸었다. 넷플릭스는 영상을 2분 시청한 구독자를 ‘초기 이용자(starter)’로 70%를 시청한 구독자를 ‘시청자(watcher)’로 그리고 90%를 시청한 구독자를 ‘종료 이용자(completer)’로 정의했다.11)

2021년 여름에는 시청 가구에서 28일간의 총 시청 시간으로 변경했다. 올해 6월에는 통합 시청 시간을 러닝타임으로 나눈 ‘시청자 수’를 기준으로 변경했다.12) 이 기준에도 비영어 TV쇼에서는 <오징어 게임>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오징어 게임>은 공개 후 91일간 총 시청시간이 22.05억 시간이고, 시간당 총 시청자 수는 이를 총 러닝타임으로 나눈 2.65억 명이다. 2위는 <종이의 집> 시즌4로 1.06억 명이다. 미국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은 2024년 슈퍼볼의 평균 시청자 수가 1억 2,370만 명인 점을 볼 때13) <오징어 게임>의 성공은 엄청난 결과라고 판단할 수 있다. 넷플릭스에서 국내에서 인기 있었던 2023년 TV 콘텐츠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1년 전체로 발표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의 주별 10위 이내를 플릭스패트롤처럼 1위는 10점, 2위는 9점, ... 10위는 1점을 부여하여 합산한 점수를 기준으로 <표 3>와 같이 점수를 부여하여 산출해 보았다. 1위는 138점을 받은 <더 글로리>, 2위는 132점으로 <나는 솔로>가 차지했다.

표3 넷플릭스 TV쇼 한국 톱 10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2년, 2023년 넷플릭스 TV쇼 한국 톱 10순위를 프로그램명, 점수, 10위내 포함 주로 나열한 표
순위 2023년 2022년
프로그램명 점수 10위내 포함 주 프로그램명 점수 10위내 포함 주
1 더 글로리 138 19 나는 솔로 211 49
2 나는 솔로 132 28 환혼 143 18
3 일타 스캔들 94 12 우리들의 블루스 122 15
4 닥터 차정숙 78 9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119 16
5 킹더랜드 77 10 나의 해방일지 113 15
6 국민사형투표 73 11 스물다섯 스물하나 107 15
7 나쁜 엄마 66 9 그 해 우리는 90 12
8 힘쎈 여자 강남순 65 9 모범형사 85 15
9 힙하게 64 9 슈룹 82 9
10 D.P. 60 9 작은 아씨들 81 10
출처넷플릭스

주별 넷플릭스 자료를 기준으로 산출

글로벌 순위는 2023년 마지막 주를 보면 비영어권에서 K-콘텐츠가 10위 안에 5개나 차지하고 있다. 3위 <경성 크리처>, 4위 <마이 데몬>, 7위 <솔로 지옥>, 9위 <여신 강림>, 10위 <웰컴투 삼달리>이다. 또한 비영어권의 시청자수도 200만 명 정도가 더 많다. 영어권 1위인 <리키 저베이스>가 800만 명인데, 비영어권 1위인 <베를린>은 1,130만 명이다. 그만큼 넷플릭스는 비영어권에서 제작하여 훨씬 효율적인 경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4 넷플릭스 Top 10 TV쇼 인기 순위(2023.12.25. ~ 2023.12.31.)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넷플릭스 Top 10 TV쇼 인기 순위(2023.12.25. ~ 2023.12.31.)를 비영어권, 영어권으로 제목, 시청수(만)를 비교 나열한 표
순위 비영어권 영어권
제목 시청수(만) 제목 시청수(만)
1 베를린 1,130 리키 저베이스: 아마겟돈 800
2 더 매니 820 어느날 월터 형제들과 살게 됐다 540
3 경성 크리처 610 더 크라운 6 360
4 마이 데몬 280 초토화 260
5 유유백서 260 에이크 샤펠: 꿈꾸는 사람들 220
6 포켓몬스터 260 벽난로 4K 190
7 솔로지옥 220 2차 세계대전: 최전선에서 180
8 골든 아워 210 트레버 노아: 어디까지 얘기했죠 170
9 여신 강림 190 영 쉘던 150
10 웰컴투 삼달리 160 베베핀 플레이타임 150

2-2-3. KOI

OTT 이용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곳은 한국리서치의 KOI다. 이 부분이 본 글의 메인이며 다시 자세히 다룬다. 지난해에 <미디어 이슈 & 트렌드>를 통해 소개한 바 있는데, 모바일 시청률 변화를 보여주던 호미 앱은 아쉽게도 2023년부터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3. 화제성 조사

디지털 시청이 증가하면서 시청률이나 시청자수 외에도 화제성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시청률 조사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다면, 화제성은 프로그램에 대한 바이럴을 조사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TV 프로그램 시청여부와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프로그램의 인기를 측정하기 좋은 지표다. CJ ENM이 화제성 지수를 개발하여 발표하고, 광고주에게 소구력이 있게 되면서 화제성에 대해 여러 곳에서 파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CJ ENM의 CPI, 코바코의 라코이, 굿데이터 코퍼레이션 등이 있다.

2-3-1. CJ ENM의 CPI

CPI는 “2012년 전후로 tvN을 중심으로 한 CJ 계열 프로그램들이 급성장하면서 … 20~30대 젊은 시청자를 중심으로 온라인 반응을 기본으로 한 콘텐츠영향력지수(CPI)를 자체 개발”했다.14) 공식 홈페이지 내 주간 CPI를 발표하고, “IR 활동 및 자료”15)란에서 기존의 주별 CPI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12월 4주를 보면 10위 안에 예능이 8개, 드라마 2개이다. 5위까지 예능이며 6위가 드라마 <마에스트라>이다. 드라마의 하락세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림2 CJ ENM CPI(2023년 12월 4주)
CJ ENM CPI(2023년 12월 4주) 표 이미지

2023 Dec. Week 4

Language : Korean

CJ ENM CPI(2023년 12월 4주)
Rank Channel Genre Program Rating CPI
1 SBS 예능 2023 SBS 가요대전 2.727 357.7
2 MBN 예능 현역가왕 1.598 244.7
3 TV CHOSUN 예능 미스트롯3 1.457 241.0
4 SBS 예능 런닝맨 1.632 235.6
5 SBS 예능 2023 SBS 연예대상 2.714 231.3
6 tvN 드라마 마에스트라 1.710 228.1
7 MBC 예능 2023 MBC 가요대제전 2.727 223.6
8 KBS2 드라마 혼례대첩 1.648 219.7
9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 2.189 219.1
10 JTBC 예능 최강야구 1.489 219.1

2-3-2. 코바코(Kobaco) 라코이(RACOI)

라코이는 방송콘텐츠 가치정보 분석시스템으로 화제성 지수를 주간과 월단 단위로 제공한다. 프로그램별로 인터넷 반응을 조사하는데 시청자 버즈와 미디어 버즈로 나누어진다. 시청자 버즈는 게시글, 댓글, 동영상 조회수를 조사하고, 미디어 버즈는 뉴스기사와 동영상 조회수를 계산한다. 2022년까지 <그림 3>처럼 순위를 매겨 공개했으나,16) 2023년은 단지 프로그램을 가나다순으로 버즈와 조회수 현황을 엑셀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했다. 그나마 2024년부터는 중단한 상태이다.

그림3 코바코 라코이의 화제성 지수
코바코 라코이의 화제성 지수

지표별 top10 인터넷반응이 높은 방송콘텐츠-게시글수

분석기간:2022년 11월 3주(2022.11.14~2022.11.20)

인터넷반응이 높은 방송콘텐츠를 게시글수 기준으로 순위, 방송채널, 프로그램, 장르, 게시글수(전주, 분석주), 게시글수 점유율(전주, 분석주) 순위변동 추이별로 나열한 표
순위 방송채널 프로그램 장르 게시글수 게시글수 점유율 순위변동
전주 분석주 전주 분석주
1 JTBC 재벌집 막내아들 드라마 433 5,389 1.32% 16.19% ▲19
2 Mnet 쇼미더머니11 오락 2,558 3,541 7.78% 10.64% ▼1
3 tvN 슈룹 드라마 1,545 1,908 4.7% 5.73% ▲2
4 ENA PLAY/SBS Plus 나는 SOLO 오락 1,523 1,513 4.63% 4.55% ▲2
5 JTBC 최강야구 오락 1,554 999 4.72% 3% ▼1
6 MBN 돌싱글즈 외전 – 괜찮아,사랑해 오락 241 914 0.73% 2.75% ▲29
7 SBS 치얼업 드라마 634 877 1.93% 2.63% ▲1
8 SBS 소방서 옆 경찰서 드라마 543 727 1.65% 2.18% ▲5
9 MBC *나혼자산다 오락 601 679 1.83% 2.04% ▲1
10 SBS *런닝맨 오락 577 585 1.75% 1.76% ▲2

2-3-3. 굿데이터코퍼레이션

TV 프로그램의 화제성을 분석하는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은 매주 드라마와 비드라마를 구분하여 화제성을 조사하여 발표한다. 시청률이 방송 시청 여부만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TV 화제성은 각 프로그램 방송 후 1주일 동안 온라인 뉴스, 블로그, 커뮤니티, 트위터, 동영상에서 나타난 네티즌 반응을 조사하여 지수화하고 분석하여 평가한다. 2023년에 공개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연간 화제성 분석 결과 드라마는 넷플릭스의 <더 글로리 파트2>가 1위, 디즈니+의 <무빙>이 2위, SBS의 <낭만닥터 김사부3>가 3위를 했고, 비드라마는 Mnet의 <보이즈 플래닛>이 1위, <스트릿 우먼 파이터2>가 2위, JTBC의 <피크타임>이 3위를 했다. 2022년과 단순 비교할 수는 없지만 2023년의 화제성 점수가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넷플릭스는 한 번에 공개하기 때문에 화제성이 초반에 급격하게 높지만 평균을 내면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주 2회 공개하는 콘텐츠는 화제성을 장기간 몰고 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표5 굿데이터 코퍼레이션의 드라마 화제성 톱10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2년, 2023년 굿데이터 코퍼레이션의 드라마 화제성 톱10 순위를 프로그램명, 방송사, 화제성별로 나열한 표
순위 2023년 2022년
프로그램명 방송사 화제성 프로그램명 방송사 화제성
1 더 글로리 파트2 Netflix 43,178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ENA 121,777
2 무빙 디즈니+ 35,426 지금 우리 학교는 Netflix 82,633
3 낭만닥터 김사부 3 SBS 31,927 재벌집 막내아들 JTBC 69,190
4 일타 스캔들 tvN 30,200 스물다섯 스물하나 tvN 57,757
5 킹더랜드 JTBC 30,120 사내맞선 SBS 45,329
6 악귀 SBS 29,483 더 글로리 Netflix 40,852
7 연인 파트2 MBC 29,142 환혼: 빛과 그림자 tvN 39,708
8 닥터 차정숙 JTBC 27,627 작은 아씨들 tvN 29,500
9 마이 데몬 SBS 25,147 빅마우스 MBC 26,267
10 무인도의 디바 tvN 24,991 나의 해방일지 JTBC 25,904
출처굿데이터 코퍼레이션(2024)
표6 굿데이터 코퍼레이션의 비드라마 화제성 톱 10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2년, 2023년 굿데이터 코퍼레이션의 비드라마 화제성 톱 10 순위를 프로그램명, 방송사, 화제성별로 나열한 표
순위 2023년 2022년
프로그램명 방송사 화제성 프로그램명 방송사 화제성
1 보이즈 플래닛 Mnet 22,676 쇼미더머니11 Mnet 21,382
2 스트릿 우먼 파이터2 Mnet 20,213 스트릿 맨 파이터 Mnet 20,013
3 피크타임 JTBC 20,207 퀸덤2 Mnet 18,000
4 하트시그널 시즌4 채널A 12,594 방과후 설렘 MBC 14,918
5 피지컬:100 Netflix 12,410 환승연애2 TVING 14,190
6 퀸덤퍼즐 Mnet 11,390 싱어게인2 JTBC 9,192
7 미스터트롯2 TV CHOSUN 10,635 뿅뿅 지구오락실 tvN 8,612
8 서진이네 tvN 9,603 유 퀴즈 온 더 블럭 tvN 8,046
9 싱어게인3 JTBC 9,143 나는 SOLO ENA Play/SBS Plus 7,434
10 솔로지옥3 Netflix 9,003 나 혼자 산다 MBC 6,678
출처굿데이터 코퍼레이션(2024)

3. K-콘텐츠의 OTT 소비 현황

한국리서치는 국내 유일의 1,500명의 OTT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모바일로 365일 실시간 디지털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조사하는 데이터는 앱에서 이용하는 콘텐츠의 세부 내용과 유튜브 광고 세부 내용이다. 조사대상은 유료 OTT는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디즈니+, U+모바일TV, 왓챠, 스포TV 나우, 모바일 B tv, 라프텔, 아이치이, 지니TV 모바일, 위티비, 비플릭스, 프라임비디오 등 15개이고, 무료 OTT는 유튜브, 틱톡, 트위치, 아프리카TV, KBS+, 카카오TV, SBP play, 위버스, 네이버 나우, MBC(Live + VOD), 네이버 시리즈온, 삼성 TV 플러스, 도라마코리아, 바바요 등 14개로 총 29개이다. 콘텐츠 수집은 볼드체로 된 8개 앱이다.

그림4 KOI 조사데이터
KOI 조사데이터
출처한국리서치(2022. 3).

3-1. OTT 앱 이용현황

KOI 패널을 기준으로 2023년에 모바일에서 이용한 앱을 카테고리로 구분하면 OTT가 113.2억 시간(비중 16.6%)으로 2022년 106.5억 시간(비중 16.0%)보다 증가했다. 이중에서 SVOD는 15.6억 시간으로 13.8%를 차지하고, AVOD는 97.7억 시간으로 86.2%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OTT 앱은 29개(2022년 22개)를 이용하고 있으며, 남자(29개)와 여자(28개)가 큰 차이는 없다. 2022년 대비 KBS+, SBS play, MBC(Live + VOD), 도라마코리아가 추가되었다. 남자(21개)보다 여자(22개)가 더 많이 이용한다. 연령별로는 15~19세는 20개, 20대와 30대 22개, 40대와 50대는 21개를 이용하고 있다.

2023년 유튜브가 92.1억 시간으로 압도적으로 높고, 2022년 79.5억 시간보다 12.6억 시간이나 증가(15.8%)했다. 2위는 넷플릭스로 6.1억 시간이나 2022년 8.2억 시간보다 상당히 감소했다. 3위는 티빙으로 3.7억 시간이다. 4위는 웨이브로 3억 시간이다. 3위와 4위가 전년에 비해 순위가 뒤바뀌었다. 2023년은 남자도 티빙(4위)과 웨이브(5위)의 순위가 올라왔고, 틱톡의 상승이 눈에 띈다. 2022년 7위에서 5위로 올라왔고, 남자는 유튜브, 넷플릭스에 이은 3위이고, 여자는 티빙, 웨이브 다음의 5위다. 10대 2위에 이어 40대와 50대도 4위를 차지했다.

표7 2023년 OTT 앱별 이용순위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3년 OTT 앱별 이용순위를 시간(백만),남자, 여자 15세-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별로 구분하여 나열한 표
순위 OTT 앱 시간(백만) 남자 여자 15-19 20대 30대 40대 50대+
1 유튜브 9,208.9 1 1 1 1 1 1 1
2 넷플릭스 607.1 2 2 3 3 2 2 2
3 티빙 370.3 4 3 5 4 3 3 5
4 웨이브 297.0 5 4 6 5 4 5 3
5 틱톡 277.1 3 5 2 6 7 4 4
6 트위치 144.9 6 7 4 2 5 21 24
7 쿠팡플레이 116.0 8 6 10 8 6 6 6
8 아프리카TV 76.4 7 9 7 7 8 9 13
9 디즈니 플러스 64.2 9 8 9 9 9 7 7
10 U+모바일tv 29.5 10 11 22 21 11 8 8
11 왓챠 23.1 12 10 11 11 12 10 17
12 KBS+ 17.7 11 18 18 10 15 17 9
13 스포티비 나우 11.4 13 21 14 14 13 14 14
14 모바일 B tv 10.6 16 14 12 27 19 11 11
15 라프텔 10.3 19 12 8 13 20 26  
16 카카오TV 9.5 14 25 20 26 10 12 19
17 SBS play 9.3 17 16 19 18 18 13 10
18 아이치이 7.7 29 13 25 15 14 15  
19 위버스 7.4 22 15 13 17 17 18 22
20 지니 TV 모바일 6.8 23 17 23 12 25 24 16
21 네이버 나우 6.2 15 20 15 16 16 22 18
22 MBC(Live+VOD) 3.7 18 24 16 23 24 19 12
23 위티비 2.8 28 19   19 21 20 25
24 네이버 시리즈온 2.1 21 22 21 20 22 27 15
25 삼성tv플러스 2.0 20 23 24 22 23 16 20
26 도라마코리아 0.9 24 26 17 24 27 23 21
27 비플릭스 0.3 25       28 25 26
28 프라임 비디오 0.3 26 27 26 25 29 28 27
29 바바요 0.2 27 28 27 28 26 29 23
출처한국리서치(2024. 3).

SVOD와 AVOD를 보면 유튜브로 인해 AVOD가 86.3%(97.7억 시간)으로 2022년(80.3%, 84.3억 시간)에 비해 비중과 시간 모두 증가했다. SVOD는 13.7%(15.6억 시간)으로 2022년(19.7%, 25억 시간)에 비해 급격히 감소했다.

2023년 월별 AVOD 이용시간 점유율(<그림 6>)은 2022년에 이어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위기 하에서 SVOD 이용 요금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5 2022년 월별 SVOD와 AVOD 이용시간 점유율
2022년 월별 SVOD와 AVOD 이용시간 점유율

AVOD는 유튜브가 2022년과 동일한 94.3%로 거의 대부분이고, 틱톡과 아프리카TV가 각각 2.8%(2022년 1.9%), 트위치 1.5%(2022년 1.4%)이나 매우 미미하다. SVOD는 넷플릭스가 2022년 40.9%보다 감소했지만 39.0%로 여전히 가장 높고, 티빙 23.8%(2022년 16.8%)와 웨이브 19.1%(2022년 17.1%)는 전년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디즈니+는 4.1%로 2022년 2.1%보다 증가했고, 쿠팡플레이 7.5%로 2022년 8.2%보다 감소했다.

콘텐츠의 국적을 보면 한국이 77.6%(10.7억 시간)로 2022년 73.1%(9.53억 시간)보다 비율과 시간 모두 증가하면서 압도적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 콘텐츠가 2022년 13.8%(1.8억 시간)에서 8.5%(1.2억 시간)로 감소했고, 일본은 2022년 4.4%(5,687만 시간)에서 7.2%(1억 시간)로 증가했으며, 4위 중국은 전년보다 작은 3.4%이지만 시간은 4,630만 시간에서 4,654만 시간으로 약간 상승했다.

3-2. 주요 SVOD 이용율과 점유율

2023년 SVOD OTT별 이용률은 각각 쿠팡플레이 2.36%p, 디즈니+ 2.28%p, 넷플릭스 2.05%p, 티빙 1.88%p가 증가했고, 웨이브 –0.02%p, 왓챠 –0.46%p가 하락했다.

그림6 2023년 주요 SVOD 월별 이용률
2023년 주요 SVOD 월별 이용률
출처한국리서치(2024. 3).

2023년 SVOD OTT별 점유율은 넷플릭스가 1월 46.1%에서 12월 45.3%로 조금 하락했고, 대체로 연말 연초만 높고 여름 동안 낮은 현상이 나타났다. 여름에는 티빙이 상승세였다. 티빙은 연초에 23.5%에서 20.1%로 하락했지만 5월부터 7월까지 방송한 <뿅뿅오락실>이 여름 상승의 주요인이었다. 웨이브가 16.2%에서 17.8%로 상승세였으며, <모범택시>와 <나 혼자 산다>가 시청을 주도했다. 디즈니+가 3.6%에서 5.1%로 상승했고, <무빙>으로 8월부터 급상승했다. 쿠팡플레이도 6.7%에서 7.2%로 상승세를 보여줬다.

그림7 2023년 주요 SVOD 월별 이용시간 점유율
2023년 주요 SVOD 월별 이용시간 점유율
출처한국리서치(2024. 3).

3-3. SVOD 이용 콘텐츠 톱10

SVOD 이용의 주된 장르는 리얼리티&토크&버라이어티로 3.69억 시간인 26.7%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드라마&로맨스 2.68억 시간으로 19.4%, 범죄&스릴러 1.9억 시간으로 13.8%, SF&판타지 1.74억 시간으로 12.6%, 코미디 1.2억 시간으로 8.7% 순이다. 드라마&로맨스는 2022년 26.7%에서 19.4%로 감소한 반면 리얼리티&토크&버라이어티는 25.4%에서 26.7%로 증가했다. 2023년 예능의 선전 현상을 대변하고 있다.

표8 SVOD 장르별 이용시간 및 비중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SVOD 장르별 이용시간 및 비중을 2022년, 2023년별로 비교 나열한 표
장르 2023 2022
이용시간(억) 비중(%) 이용시간(억) 비중(%)
리얼리티&토크&버라이어티 3.69 26.7 3.31 25.3
드라마&로맨스 2.68 19.4 3.49 26.7
범죄&스릴러 1.90 13.8 1.61 12.3
SF&판타지 1.74 12.6 1.44 11.0
코미디 1.20 8.7 0.74 5.6
애니메이션 0.86 6.2 0.51 3.9
액션&어드벤처 0.69 5.0 0.80 6.1
호러 0.32 2.3 0.38 2.9
뉴스&시사 0.25 1.8 0.22 1.7
다큐멘터리 0.19 1.4 0.18 1.4
스포츠 0.13 0.9 0.18 1.4
어린이&가족 0.12 0.8 0.13 1.0
음악 0.06 0.4 0.07 0.6
게임&E-스포츠 0.00 0.0 0.00 0.0
종교 0.00 0.0 0.00 0.0
전체 13.82 100.0 13.05 100.0
출처한국리서치(2024. 3).

2023년 연간 콘텐츠별 이용시간을 보면 <더 글로리>가 2,868만 시간으로 1위로 2022년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392만 시간을 상회했다. <나는 Solo>가 2,447만 시간으로 2위, <나 혼자 산다>가 1,428만 시간으로 3위이다. 전체적으로 시청시간이 2022년보다 증가했다. <나는 Solo>가 2위, <나 혼자 산다>가 3위를 차지한 것은 지난해보다 예능의 인기가 강함을 보여준다. 콘텐츠 이용률 기준으로는 <더 글로리>(12.93%), <킹더랜드>(7.12%), <나는 신이다>(7.01%), <일타 스캔들> 6.99%, <마스크걸>(6.86%), <닥터 차정숙>(6.67%), <D.P.>(6.27%),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5.94%), <경이로운 소문>(5.86%), <나는 솔로>(5.61%) 순이다.

표9 2023년 SVOD 콘텐츠 이용시간 순위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3년 SVOD 콘텐츠 이용시간 순위를 프로그램명, 장르, 플랫폼, 이용시간(만 시간)별로 나열한 표
순위 프로그램명 장르 플랫폼 이용시간(만 시간)
1 더 글로리 범죄/스릴러 넷플릭스 2,868
2 나는 Solo 리얼리티/토크/버라이어티쇼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 2,447
3 나 혼자 산다 리얼리티/토크/버라이어티쇼 웨이브, 왓챠 1,428
4 킹더랜드 드라마/로맨스 넷플릭스, 티빙 1,391
5 일타 스캔들 드라마/로맨스 넷플릭스, 티빙 1,263
6 무빙 SF/판타지 디즈니플러스 1,155
7 모범택시 범죄 웨이브 1,119
8 경이로운 소문 SF/판타지 넷플릭스, 티빙 1,074
9 뿅뿅 지구오락실 리얼리티/토크/버라이어티쇼 티빙 1,054
10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드라마/로맨스 넷플릭스 1,017
출처한국리서치(2024. 3).

성별로 보면, <더 글로리>와 <나는 Solo>가 나란히 1위와 2위를 하고 <킹더랜드>만 남자 3위, 여자 10위이고 나머지는 10위권에서 겹치지 않는다. 지난해에 비해 남녀 간에 콘텐츠 소비가 극적 대비를 이룬다.

연령별로 보면 10대와 20대, 50대는 <더 글로리>가 1위임에 반해 30대와 40대는 <나는 Solo>가 1위이다. 50대 2위를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가 차지한 것이 흥미롭다.

표10 2023년 프로그램별 성별 및 연령별 이용시간 순위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3년 프로그램별 성별(남자, 여자) 및 연령별(15-29, 30대, 40대, 50대+) 이용시간(시간(만)) 순위를 나열한 표
순위 프로그램 시간(만) 남자 여자 15-29 30대 40대 50대+
1 더 글로리 2,868 1 1 1 2 2 1
2 나는 Solo 2,447 2 2 2 1 1  
3 나 혼자 산다 1,428   3   3 6 7
4 킹더랜드 1,391 3 10   9 3 3
5 일타 스캔들 1,263   4 7   7 4
6 무빙 1,155 4     7 10 8
7 모범택시 1,119   6 5 10    
8 경이로운 소문 1,074   9   8 9 9
9 뿅뿅 지구오락실 1,054   5 3      
10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1,017   7     8  
출처한국리서치(2024. 3).

2023년 OTT 서비스별 이용시간 1위는 넷플릭스 <더 글로리>, 웨이브 <나 혼자 산다>, 티빙 <뿅뿅 지구오락실>, 디즈니+ <무빙>이다. 2022년 1위는 넷플릭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웨이브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티빙 <뭉쳐야 찬다>, 디즈니+ <재벌집 막내아들> 이었다.

표11 2023년 OTT별 이용 콘텐츠 톱10
← 모바일 화면에서 스와이프 기능이 추가되어있습니다. →
2023년 OTT별(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디즈니+) 이용 콘텐츠 톱10을 나열한 표
순위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디즈니+
1 더 글로리 나 혼자 산다 뿅뿅 지구오락실 무빙
2 나는 Solo 모범택시 나는 Solo 카지노
3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런닝맨 유 퀴즈 온 더 블럭 최악의 악
4 일타 스캔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놀라운 토요일 형사록
5 킹더랜드 낭만닥터 김사부 서진이네 Castle
6 마스크걸 KBO 리그 킹더랜드 소방서 옆 경찰서
7 경이로운 소문 전지적 참견 시점 구미호뎐 1938 비질란테
8 디피 놀면 뭐하니? 장사천재 백사장 악귀
9 퀸메이커 연인(2023) 연애의 참견 아스달 연대기: 아라문의 검
10 힘쎈여자 강남순 미운 우리 새끼 최강야구 낭만닥터 김사부
출처한국리서치(2024. 3).

4. 나가며

콘텐츠에 인기 조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어떤 조사도 전수 조사가 아니기 때문에 완벽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나름의 논리를 갖고 있다. OTT 이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현황 파악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리서치의 KOI 1,500명 패널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산출하는 한계가 있지만, 패널의 이용 현황을 전수를 측정한다는 데 의의가 상당하다고 생각한다. 그것도 OTT 플랫폼 전체를 대상으로 콘텐츠별로 이용시간을 파악하고, 성별·연령별로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점도 의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2023년 최고의 콘텐츠는 <더 글로리>로 정리할 수 있다. 연간 통계를 산출하는 조사인 KOI에서 2,868만 시간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고, 굿데이터 코퍼레이션의 드라마 화제성 지수에서도 1위(16,430)를 했기 때문이다. 점차 콘텐츠의 인기도를 파악하는 조사가 체계를 잡아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 활용자료
  • 1) 굿데이터코퍼레이션(2024. 3). 2023년 드라마 화제성 톱10.
  • 2) 굿데이터코퍼레이션(2024. 3). 2023년 비드라마 화제성 톱10.
  • 3) 한국리서치(2022. 3). 2022 KOI.
  • 4) 한국리서치(2024. 3). 2023 KOI 이용 현황.
- 참고 사이트